개발 (7) 썸네일형 리스트형 [Linux] CPU, Memory, HDD 모니터링 방법 요약 CPUtop -a : 메모리 사용에 따라 정렬-b : 배치 모드에서 시작-c : 명령어 라인 출력-d : 업데이트 간격 조정-h : 도움말-H : 모든 개별 쓰레드 출력-i : 좀비(zombie) 또는 Idle 상태 무시-m : VIRT 대신 USED 보고-M : 메모리 유닛(K/M/G) 출력-n : 반복의 최대 수 지정-P : 지정된 프로세스 ID 출력-s : 보안 모드로 시작-S : 누적 시간 모드로 시작. 활성화되면 각 프로세스는 CPU를 사용한 시간과 함께 출력-u : 지정된 유효 사용자에 의한 프로세스만 출력-U : 지정된 사용자에 의한 프로세스만 출력. 사용자는 실제, 유효한, 저장된 및 파일시스템 UID를 의미-v :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버전을 출력 Memoryfree -h -b, -k, .. [Mysql] Master-Slave 이중화 DB 준비우선, 총 2대의 서버가 필요하기 때문에 각각의 서버에 mysql을 설치합니다.apt install mysql-server 그 후 mysql 에 접속이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.mysql -u root 참고사항Master DB Server IP : M.M.M.MSlave DB Server IP : S.S.S.S Master 서버 기본 설정1. Master 서버에 my.cnf 파일을 수정합니다.nano /etc/my.conf아래의 내용을 작성합니다.[mysqld]bind-address = 0.0.0.0 server-id = 1log_bin = /var/log/mysql/mysql-bin.logexpire_logs_days = 90 2. Master 서버의 mysql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.system.. [Linux] 오프라인 환경에서 rpm으로 NAS 연동하기 2. vi /etc/fstab A.A.A.A:/folder /mnt/folder nfs vers=3,defaults 0 03. mount -a #/etc/fstab 에 등록된 filesystem 마운트우선, NAS를 연동하기 전에 리눅스에서 nfs-utils 을 설치해야합니다.하지만 온라인 환경이 아니라 오프라인 환경이기 때문에 관련 의존성 패키지들을 수동으로 하나하나 다운로드 받아줍니다. 필요한 패키지들로는nfs-utils-2.3.3-59.el8.x86_64.rpmlibverto-libevent-0.3.0-5.el8.x86_64.rpmgssproxy-0.8.0-21.el8.x86_64.rpmkeyutils-1.5.10-9.el8.x86_64.rpmrpcbind-1.2.5-10.el8.x86_6.. [Linux] NTP 연동 - chrony NTP(Network Time Protocol)?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끼리 시간을 동기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.NTP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 서버의 시간이 다르게 나오니 로그에 시간이 이상하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. Chrony(a versatile implementation of the Network Time Protocol)?기존의 NTP의 단점들을 개선해서 나온 프로토콜입니다.개선된 점으로는- 신속한 동기화 가능- 클록 주파수 교정범위 확장 - 클록 주파수 빠른 변동 대응- 초기 동기화 후 클럭 스테핑X- 간혈적인 네트워크 연결 작동 이 있습니다. 설정 방법1. chrony.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.vi /etc/chrony.conf 2. .. [Javascript] .js파일끼리 통신하는 법 - CustomEvent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Front 개발 중 파일끼리 데이터를 통신하고 싶었는데, 방법을 모색하다 Event를 활용한 통신을 정리해보고자 한다. dispatchEvent 메서드?우선 dispatchEvent 메서드는 Javascript 안에서 사용하는 Event 객체를 발송하는 메서드로 이를 활용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고, CustomEvent 객체를 활용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메서드이다.주로 DOM 요소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시뮬레이션하거나 사용자 지정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된다. 예를 들어 우리가 버튼을 클릭하는 click 이벤트, selectBox의 내용을 바꾸는 change 이벤트 등 DOM에서 많이 쓰이는 이벤트들을 강제로 전송하여 조작할 수 있다. Click .. [Javascript] TDZ(Temporal Dead Zone)이란? 지난 글에서 호이스팅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, 이번에는 자바스크립트의 TDZ(Temporal Dead Zone)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[Javascript] 호이스팅(Hoisting) 개념정리최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특정 개념들이 당연하게 여겨져 디테일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.우선 호이스팅부터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호이스팅이란? 호이스팅이kebi3477.tistory.comTDZ(Temporal Dead Zone)이란?Temporal Dead Zone은 "일시적 사각지대"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TDZ는 변수가 선언되고 초기화 단계에 접어들기 전까지의 구간을 의미합니다. 이 구간에서는 변수에 접근하면 ReferenceError가 발생합니다. 하지만 모든 자바스크.. [Javascript] 호이스팅(Hoisting) 개념정리 최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특정 개념들이 당연하게 여겨져 디테일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.우선 호이스팅부터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호이스팅이란? 호이스팅이란 자바스크립트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 변수나 함수, 클래스 또는 임포트의 선언문을 해당 범위의 맨 위에서 선언이 된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.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호이스팅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. 1. 변수가 선언된 줄(line) 이전에 해당 범위에서 변수 값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2. 변수가 선언된 줄(line) 이전에 해당 범위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지만 값이 항상 undefined 인 경우3.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가 선언된 줄(line) 앞의 범위에서 동작이 변경됨4. 선언의 부작용은 선언이 포함.. 이전 1 다음